목록Python Algorithm (133)
cool hamsters never sleep
m = int(input()) n = int(input()) real = [] def weneed(num) : if num == 1 : return False else : for i in range(2, int(num ** 0.5) +1): if num % i == 0: return False return True for i in range(m, n+1) : if weneed(i) : real.append(i) if len(real) == 0 : print(-1) else : print(sum(real)) print(min(real)) 입력받는 수의 범위가 크므로, 에라스토테네스의 체를 사용해야 합니다. 소수 값만 real 리스트에 저장하는데, 만약 real 리스트 갯수가 0이라면 소수가 없다는 뜻이겠죠..
nn = int(input()) m_list = list(map(int, input().split())) y_list = [] # 약수 개수 담는 리스트 # 약수 개수 함수 정의 def sosu (n) : count = 0 for i in range (1, n+1) : if n == i : count = count + 1 elif n % i == 0 : count = count + 1 return count for i in range (0, len(m_list)) : y_list.append(sosu(m_list[i])) print(y_list.count(2)) 1. 먼저 수의 개수를 입력받습니다. 2. 그 다음으로 list(map(int, input().split())) 으로 받으면, 개수의 제한 없이..
k = int(input()) lek = [] for i in range (0, k) : a = int(input()) if a == 0 : lek.pop() else : lek.append(a) print (sum(lek)) pop() :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추가 된 요소를 삭제 리스트 변수명.pop(n) : 리스트의 n번째 요소를 돌려주고 그 요소 삭제 + 그나저나 이 문제는 혹시... 시즈니가 만든?!
a, b, c = map(int, input().split()) # a 고정비, b 변동비, c 가격 # 손익분기점 : a + b*n = c : print(-1) else : print((a // (c - b)) +1)
def realsosu(num) : if num == 1 : return False else : for i in range(2, int(num ** 0.5) +1): if num % i == 0: return False return True M, N = 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M, N+1) : if realsosu(i) : print(i) 백준 1929번 문제는 파이썬으로 풀 경우,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사용해야 시간초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시간초과가 발생한 대부분의 코드의 경우 for문이 여러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되는 까닭에는 문제에서 입력값 범위가 크기 때문이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소수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1. 2부터 N까지 모든 수..